인터넷 대역폭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합니까?

- 02 July 2025
2025년 2월 기준,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는 약 55억 6천만 명입니다. 많은 사용자에게 느린 인터넷 속도는 불만의 흔한 원인입니다. 이는 일상 업무를 방해하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온라인 비즈니스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느린 인터넷 속도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인터넷 대역폭 문제입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인터넷 대역폭이 무엇이고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킹에서 대역폭이란 무엇일까요?
네트워킹에서 대역폭 - 네트워크가 주어진 시간(초당)에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측정한 값입니다. 네트워크 연결이 유선이든 무선이든 관계없이 동일합니다.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초당 킬로비트, 초당 메가비트, 초당 기가비트로 측정됩니다.
여기서는 대역폭과 관련된 몇 가지 일반적인 오해를 해소하고자 합니다.
- 대역폭은 무제한적인 자원입니다.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물리적 및 운영적 측면에서 유한한 자원입니다. 많은 ISP가 무제한 대역폭을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다음과 같은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 물리적 장벽
- 공유 네트워킹
- ISP 제한
- 주파수 희소성
- 대역폭은 네트워크 속도와 같습니다.대역폭과 네트워크 속도는 서로 관련이 있지만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네트워크 속도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실제 속도이며, 대역폭은 데이터 전송의 잠재적 한계(최대 용량)를 설정합니다.
대역폭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대역폭의 작동 방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기술적 측면과 실용적인 측면 모두에서 설명하겠습니다. 기술적 관점에서 대역폭은 네트워크를 통해 초당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용량입니다.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대역폭을 고속도로, 데이터를 자동차에 비유해 보겠습니다. 고속도로(대역폭)가 넓을수록 더 많은 차량(데이터)이 통과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대역폭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간단한 분석입니다.
-
데이터는 패킷으로 나뉩니다.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웹사이트 로딩 등), 기기는 데이터를 기본 단위(작은 청크)로 나눕니다. 이러한 청크를 패킷이라고 합니다.
-
패킷은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 이동합니다.
패킷은 케이블, 스위치, 라우터 및 무선 신호를 통해 이동합니다. 네트워크의 각 부분(Wi-Fi, 이더넷 케이블, 라우터)에는 자체적인 대역폭 제한이 있습니다.
-
대역폭은 흐름 용량을 결정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이더넷 포트 또는 Wi-Fi 칩)에는 100Mbps, 1Gbps 등의 대역폭 제한이 있습니다.
ISP에서 500Mbps 대역폭을 제공하지만 라우터 이더넷 포트가 100Mbps만 지원하는 경우, 실제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0Mbps입니다.
이 외에도 네트워크 대역폭은 연결된 모든 기기가 공유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라우터의 대역폭 제한이 100Mbps이고 5대의 기기가 연결된 경우, 각 기기는 해당 대역폭의 일부를 공유합니다. 즉, 네트워크 라우터에 연결된 장치가 많을수록 각 장치가 할당받는 대역폭이 줄어듭니다.
얼마나 많은 대역폭이 필요할까요?
필요한 대역폭은 현재 사용 중이거나 사용하려는 서비스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은 네트워크 대역폭 필요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요구 사항 평가입니다(출처).
- 4K UHD 스트리밍 시 25Mbps
- 1080P 스트리밍 시 5Mbps
- 720P 스트리밍 시 3Mbps
- 광대역 1.5Mbps
- 화상 통화 시 0.5Mbps
- 화면 공유 시 150Kbps
- VoIP 통화 시 80Kbps
필요 대역폭 계산
필요한 대역폭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단계를 따르세요.
- 자주 사용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해 두세요.
- 각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 요구 사항을 평가하세요.
- 각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 요구 사항에 예상 사용자 수를 곱하세요.
- 모든 숫자를 더하세요. 이것이 대역폭 요구 사항입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네트워크에서 애플리케이션 세 개만 사용하고 사용자 수가 5명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 요구 사항은 5Mbps, 두 번째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 요구 사항은 10Mbps, 세 번째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 요구 사항은 20Mbps입니다.
대역폭 요구 사항을 계산하려면 먼저 이 모든 숫자에 t를 곱하세요.사용자 수(각각 별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5Mbps x 5 = 25Mbps
- 10Mbps x 5 = 50Mbps
- 20Mbps x 5 = 100Mbps
따라서 위의 모든 값을 합한 후 (25Mbps + 50Mbps + 100Mbps) 총 대역폭 요구량은 175Mbps입니다.
대역폭 vs 인터넷 속도: 둘은 같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대역폭과 인터넷 속도를 혼동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는 오해입니다.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의 광고가 이러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주범입니다. 이들은 종종 대역폭을 인터넷 속도로 광고하는데, 일반인들은 대역폭이 높을수록 항상 인터넷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대역폭이 높을수록 데이터 다운로드 및 업로드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이는 부분적으로 사실입니다.
대역폭은 네트워크에서 초당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이며, 속도(또는 지연 시간)는 매초 데이터가 전송되는 실제 속도입니다.
아래 표는 대역폭과 인터넷 속도의 차이점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역폭 |
인터넷 속도 |
네트워크 연결의 최대 용량을 나타냅니다. |
네트워크 연결의 성능(실제 데이터 흐름)을 나타냅니다. 네트워크 |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사이트, 앱, 파일 등의 로드 속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사이트, 앱, 파일 등의 로드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
초당 비트 수(BPS)로 측정됩니다. 비트는 킬로, 메가 또는 기가 단위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
밀리초 단위로 측정합니다. |
일반적으로 ISP 및 인프라 제한에 따라 정적으로 정의됩니다. |
동적으로, 시간대, 통신 장치 간 거리, 통신 매체(유선, 무선)에 따라 달라집니다. |
네트워크 대역폭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네트워크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초당 비트 수(bps)와 같은 여러 단위로 측정됩니다. 연결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 대칭형
- 비대칭형
대칭형은 다운로드 용량과 업로드 용량이 동일한 경우입니다. 비대칭형은 일반적으로 다운로드 용량이 업로드 용량보다 큰 경우입니다.
엔터프라이즈급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대칭형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동시에, 비대칭형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홈급 사용자가 사용합니다.
대역폭을 측정하는 실용적인 방법
네트워크 대역폭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작위 네트워크 속도 테스트를 수행하여 시작하세요. 인터넷 속도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구를 방문하여 "이동" 버튼을 클릭하고 업로드 속도, 다운로드 속도, 지터, 지연 시간(ping) 등 도구에서 얻은 측정값을 기록해 두세요. 이를 통해 다음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다운로드 속도(초당 수신 가능한 데이터 양)
- 업로드 속도(초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
대역폭을 늘리는 방법
네트워크 대역폭을 늘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권장됩니다. 일반적인 몇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신 라우터 사용
- Wi-Fi 채널 업데이트
- 더 나은 Wi-Fi 대역 사용
- 네트워크 장치 제한
- 전송 전력 변경
- 라우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자세한 내용은 대역폭 증가 방법에 대한 자세한 가이드를 참조하세요.
네트워크 대역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네트워크 대역폭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다음은 그중 몇 가지 일반적인 요인입니다.
1. 네트워크 정체
너무 많은 사용자 또는 장치가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되면 정체가 발생합니다. 대역폭이 모든 장치에 분산되어 개별 사용자의 대역폭이 낮아집니다.
2. 하드웨어 제한
다음과 같은 오래된 하드웨어:
- 라우터
- 스위치
- 모뎀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또한 네트워크 대역폭에 영향을 미칩니다. 품질이 낮은 장비는 네트워크 속도와 용량에 병목 현상을 일으킵니다.
3. 연결 유형
- 다양한 인터넷 연결 유형은 각기 다른 수준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 광섬유: 높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시간
- 케이블: 중간에서 높은 대역폭
- DSL: 제한된 대역폭h
- 무선: 대역폭이 낮고 지연 시간이 긴 경우가 많음
4. 네트워크 소스와의 거리
기기와 공유기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특히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사용하는 대역폭이 약해집니다.
그 이유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 길이가 짧아지고, 전자레인지, 금속 물체, 벽 등과 같은 외부 간섭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결론
이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인터넷 대역폭은 네트워크가 1초 동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이라는 것을 알게 되셨습니다. 대역폭은 Kbps, Mbps, Gbps와 같은 여러 단위로 측정됩니다. 위 게시물의 지침을 따르면 현재 대역폭을 확인하고 네트워킹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대역폭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FAQ
방화벽이 인터넷 대역폭을 제한할 수 있나요?
네, 방화벽은 인터넷 대역폭을 제한할 수 있지만 의도적으로 제한할 수는 없습니다. 방화벽이 트래픽을 필터링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인터넷 대역폭을 제한할 수 있나요?
네, 네트워크 및 개별 기기의 인터넷 대역폭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많은 Wi-Fi 라우터에는 대역폭을 제한하거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는 QOS(서비스 품질) 설정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를 높이면 대역폭이 증가하나요?
일반적으로 인터넷 속도는 대역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속도"를 높이면 기술적으로 대역폭을 늘리는 것입니다.
지연 시간(실제 속도)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는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대역폭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인터넷 대역폭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역폭이 낮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오래된 라우터 펌웨어, 네트워크 혼잡, 연결된 기기가 너무 많거나, ISP에서 임대받은 대역폭이 너무 적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관련 블로그


What Is MAC Address Randomization and How It Keeps You Private
Understand how MAC address randomization works and how it helps keep your device activity private on public and unknown networks.
- 25 Jun 2025
